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장구벌레 장구벌레는 모기의 애벌레입니다. 고인 물만 있다면 1급수든 5급수든 잘 삽니다. 온대/열대 지방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나 북극지방에서도 활발히 번식합니다. 장구벌레는 물 속에서 위아래로 이동하며 먹이를 섭취하며, 꼬리 부분을 수면 밖으로 내어 외호흡을 합니다.  4번정도 탈피를 하며 용화를 하는데, 용화 후 번데기의 모습은 머리가 크고 뿔이 두개달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윗가슴과 가운뎃가슴 사이에 난 뿔 두개는 호흡기관입니다. 장구벌레 번데기는 다른 곤충들과 달리 자주 움직이는데, 헤엄치지 않으면 가라앉아 익사하기 때문입니다. 용화 후 수면에 완전히 떠올라 수면과 일직선이 되면 곧 성충이 우화한다는 뜻입니다. 2024. 8. 7.
물벼룩 물벼룩은 민물에 사는 갑각류로, 몸길이는 0.2~1.8mm입니다. 이름과는 달리 해충인 벼룩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주로 연못 등 물이 고인 장소에 서직합니다. 배 양쪽으로 12~18개의 가시가 있으며, 뾰족한 꼬리가 달려있습니다. 머리 앞쪽의 더듬이로 노젓기를 하며 헤엄쳐 다닙니다. 몸빛은 투명하거나 담홍색, 녹색을 띄며 속의 내부기관이 훤히 들여다 보입니다. 순환계는 개방 순환계로, 혈관없이 심장과 혈액만 있으며, 심장이 뛸때 껍데기의 틈 속으로 들어온 물을 따라 피가 온 몸에 전해지는 방식입니다. 산소가 부족해지는 환경에서는 체내에서 헤모글로빈을 합성하기도 하며, 이로 인해 몸이 붉어집니다. 물벼룩은 무척추동물로 척추로 보이는 긴 기관은 대장입니다. 흑갈색의 알을 낳으며, 여름처럼 수온이 높을 때 알.. 2024. 8. 7.
녹조현상 녹조현상이란 물에 녹조류와 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이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조류가 크게 늘어나는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오염물질로 인해 질소와 인등의 영양물질이 풍부해지거나, 20~30도의 수온에 햇빛을 많이 받거나, 물이 정체될 경우 조류가 쓸려가지 않고 수면의 온도가 높아지며 성장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녹조현상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녹조류가 하천 표면을 뒤덮으면서 태양빛을 차단시키고, 수중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여, 용존산소의 공급이 급감하기 때문입니다. 이로인해 산소가 부족해진 수중생물들은 다같이 죽게 되는 것입니다.  2024.08.07 - [열대어/먹이] - 물벼룩 2024. 8. 7.
유성생식 생식이란 생물이 다음 세대를 만드는 방식을 말합니다. 다음 세대의 형성이 개체수 증가이므로, 개체수 증가를 생식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생물은 생식을 통해 개체수를 증가 시키고, 자손에게 형질을 전달하는 유전이 일어납니다. 유성생식은 암수의 구별이 있는 두 생식세포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것입니다. 무성생식보다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소요됩니다. 유성생식은 부모양쪽의 유전자 조합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해,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습니다. 유성생식은 체내수정과 체외수정으로 나뉩니다. 체내수정은 사람처럼 체내에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체외수정은 물고기가 물속에 알을 낳을 때 수컷이 그 위에 정자를 뿌려 난자를 수정시키는 방식처럼 체외에서 수정이 이루어 지는 것을 말합니다. 2024. 8. 7.
무성생식 생식이란 생물이 다음 세대를 만드는 방식을 말합니다. 다음 세대의 형성이 개체수 증가이므로, 개체수 증가를 생식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생물은 생식을 통해 개체수를 증가 시키고, 자손에게 형질을 전달하는 유전이 일어납니다. 무성생색은 다른 개체의 유전 물질의 개입없이 일어나는 생식입니다. 생식세포 없이 자손을 만드는 방식으로, 부모와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자식을 생산합니다. 무성생식은 새로운 개체를 만들때 단순하고, 빠르고, 에너지 소모도 적은 효과적인 생식입니다. 다만 유성생식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없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무성생식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분법은 가장 단순하고 원시적인 방법입니다. 세포 하나가 둘로 나뉘거나 2개의 세포가 각각 새로운 개체가 되는 방법입니다. .. 2024. 8. 7.
실지렁이 실지렁이는 슬러지벌레 또는 하수벌레라고도 불립니다. 더럽고 고인 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4급수의 지표종으로 지렁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하수도나 더러운 개천 바닥에서 군생합니다. 헤모글로빈이 풍부해 몸을 흔들며 모든 이용가능한 산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산소가 거의 없어도 생존할 수 있으며 개구리처럼 얇은 피부를 통해 이상화탄소와 산소를 교환합니다. 몸을 좌우로 흔들어대면서 물속의 유기물을 섭취하는데, 2017년에 실지렁이가 미세플라스틱도 섭취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단백질 함량이 높아 물고기 등의 먹이로 쓰이기도 합니다. 대형 육식어의 치어들이나, 관상어의 성장과 산란의 촉진제로 통하며 발색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자주 급여됩니다.   하지만 더러운 물에서 서식하는 만큼 먹이로 제공할 시, 세척과 해감이 ..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