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대어/먹이

물벼룩

by 티람 2024. 8. 7.

나무위키의 물벼룩 사진 / 사진 클릭 시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물벼룩은 민물에 사는 갑각류로, 몸길이는 0.2~1.8mm입니다. 이름과는 달리 해충인 벼룩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주로 연못 등 물이 고인 장소에 서직합니다.

배 양쪽으로 12~18개의 가시가 있으며, 뾰족한 꼬리가 달려있습니다. 머리 앞쪽의 더듬이로 노젓기를 하며 헤엄쳐 다닙니다.

몸빛은 투명하거나 담홍색, 녹색을 띄며 속의 내부기관이 훤히 들여다 보입니다.

순환계는 개방 순환계로, 혈관없이 심장과 혈액만 있으며, 심장이 뛸때 껍데기의 틈 속으로 들어온 물을 따라 피가 온 몸에 전해지는 방식입니다.

산소가 부족해지는 환경에서는 체내에서 헤모글로빈을 합성하기도 하며, 이로 인해 몸이 붉어집니다.

물벼룩은 무척추동물로 척추로 보이는 긴 기관은 대장입니다.

흑갈색의 알을 낳으며, 여름처럼 수온이 높을 때 알을 많이 낳으며 무성생식 중 단위생식을 합니다. 다만, 겨울처럼 수온이 낮은 경우 알을 2개 낳고 이 중 하나가 수컷으로 발생하여 유성생식을 합니다.

 

2024.08.07 - [생식] - 유성생식

2024.08.07 - [생식] - 무성생식



물벼룩은 녹조류를 섭취하기에, 고마운 동물이라 많이 불립니다. 녹조현상이 일어날때, 녹조류와 함께 남조류가 뿜는 시아노박테리아, 기생성 곰팡이를 비롯한 독성물질들은 수생생물들을 사멸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2024.08.07 - [환경] - 녹조현상

'열대어 > 먹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구벌레  (0) 2024.08.07
실지렁이  (0) 2024.08.07